반응형
<주가의 움직임이 멈출 확률이 높은 곳>
1. 주가의 경로에서 차트 패턴이 나타나는 곳
2. 피보나치 되돌림이 일어나는 곳
3. 이전 천장과 바닥
4. 수평 밀집구간
5. 10,15,20과 같은 어림수
6. 추세선, 특히 장기 추세선
7. 거래량이 많은 곳
<지지와 저항이란?>
지지와 저항은 주가가 멈추는 지점으로 보통 가격의 범위로 나타난다.
지지영역 : 압도적인 매수세가 주가 하락을 멈추게 하는 곳
저항영역 : 압도적인 매도세가 주가 상승을 멈추게 하는 곳
<피보나치 되돌림>
주가가 상승할 때, 상승폭의 38%, 50%, 62%를 되돌리는 곳이 주식이 하락을 멈출 가능성이 높은 가격 수준이다.
<수평 밀집구간>
밀집 :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수평적으로 움직일 때 나타나는 현상
밀집구간 : 주가가가 상승세나 하락세에서 횡보세로 바뀌는 밀집된 가격 구간
수평 밀집구간 : 주가가 상당한 기간 동안(몇 주에서 몇 달간) 비슷한 가격대 내에서 움직임을 갖는 수평 형태의 밀집구간. 구간 내의 고가나 저가가 평평한 것이 특징
<지지/저항 영역으로서의 어림수>
어림수라는 말은 10, 20, 30처럼 0으로 끝나는 수들뿐만 아니라 15, 25,35처럼 5로 끝나는 수들도 가리킨다. 주가는 대개 이런 어림수 근처에서 멈춘다.
반응형
'투자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형 기반 특징 (0) | 2022.09.07 |
---|---|
상승함정과 하락함정 (0) | 2022.09.05 |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2) | 2022.08.20 |
지지와 저항이란? (0) | 2022.07.27 |
차트패턴 : 추세선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