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전자는 많은 계열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분을 일부 보유한 계열사도 있고, 100% 보유한 경우도 있다. 삼성전자만의 재무제표를 작성하면 별도 재무제표가 되고, 계열사까지 모두 포함해서 작성하면 연결재무제표가 됩니다.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는 대상은 '지배력이 있는가'를 가지고 판단을 하는데, 이때 양적 기준과 함께 질적 기준을 동시에 고려합니다. 기본적으로 지분을 과반수 이상 보유하면 지배력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때에 따라서 지분율이 과반수 이상이 되지 않더라도 지배력이 있다고 보는 경우도 있고, 과반수를 보유하더라도 지배력이 없다고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결대상인 기업의 현황은 감사보고서의 주석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재무제표를 분석할 때는 어떤 재무제표로 분석을 해야 할까요?
때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연결재무제표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우량한 회사를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한 회사가 실적이 좋아지면 그 회사를 소유한 회사의 주가도 오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투자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터린치의 주식투자 최종점검목록 (0) | 2022.07.23 |
---|---|
피터린치의 기업의 주식 유형 6가지 (0) | 2022.07.22 |
재무제표 보고 상장폐지 종목 피하기 (0) | 2022.07.12 |
손익계산서의 구조 (0) | 2022.07.08 |
한국회사 전자공시로 재무제표 보는법 (0) | 2022.07.05 |